티스토리 뷰
목차
결막염인데 렌즈 껴도 될까?
- 결막염 치료 중인데 렌즈 껴도 괜찮을까요? 특히 개학을 앞두고 시력이 나빠 렌즈가 꼭 필요할 때 고민될 수 있어요. 컬러렌즈를 껴도 되는지, 혹시 주의해야 할 점은 없는지 알려드립니다. 눈 건강을 지키면서 시력을 보완하는 방법도 함께 알아보세요!

결막염인데 렌즈 껴도 되나요?결막염에 걸렸을 때 렌즈를 껴도 될까요? 개학이 다가오면 안경이 불편하거나 미용적인 이유로 렌즈를 착용하고 싶을 수 있어요. 하지만 결막염이 아직 완전히 낫지 않았다면 렌즈 착용이 오히려 눈 상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습니다.렌즈 착용이 가능한지, 만약 착용해야 한다면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하나씩 알아볼게요. |
1. 결막염일 때 렌즈 착용, 왜 위험할까요?
결막염은 눈의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에요. 치료 중일 때 렌즈를 착용하면 몇 가지 위험이 있을 수 있어요.
✅ 렌즈 표면에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
렌즈는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을 흡착하기 쉬워요. 결막염이 완전히 나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렌즈를 착용하면 남아 있는 세균이 렌즈 표면에서 증식할 수 있습니다.
✅ 눈이 더 건조해짐
결막염이 있으면 눈이 원래보다 더 예민하고 건조해져요. 렌즈를 끼면 눈물이 정상적으로 순환하는 걸 방해할 수 있어서 증상이 심해질 수 있어요.
✅ 각막염 위험 증가
결막염이 있는 상태에서 렌즈를 착용하면 각막에도 염증이 생길 위험이 커져요. 특히 컬러렌즈는 일반 투명 렌즈보다 산소 투과율이 낮아 눈 건강에 더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언제부터 렌즈를 착용해도 될까요?
보통 결막염은 7~10일 정도 치료하면 증상이 호전돼요. 하지만 이 기간 동안은 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렌즈 착용을 피해야 하는 기간: 결막염 증상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보통 1~2주)
✔ 렌즈를 착용해도 되는 조건:
- 눈의 충혈과 가려움, 눈곱이 완전히 사라졌을 때
- 안과에서 재진 후 착용 가능 여부를 확인했을 때
- 새 렌즈를 사용하고 위생 관리가 철저할 때
3. 그래도 꼭 렌즈를 껴야 한다면? (주의사항)
부득이하게 렌즈를 껴야 한다면 최대한 눈 건강을 보호하는 방법을 따라주세요.
✅ 일회용 렌즈 사용하기
- 사용하던 렌즈는 세균이 묻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절대 재사용하지 마세요.
- 새 일회용 렌즈를 사용하고, 한 번 사용한 후 반드시 버리세요.
✅ 컬러렌즈보다는 투명렌즈
- 컬러렌즈는 산소 투과율이 낮아 눈이 더 건조해지고, 회복을 방해할 수 있어요.
- 꼭 착용해야 한다면 투명 일회용 렌즈를 권장합니다.
✅ 렌즈 착용 시간 최소화
- 렌즈를 장시간 착용하면 눈이 더 자극받을 수 있어요.
- 최대한 짧게 착용하고, 눈이 불편하면 바로 빼세요.
✅ 손 깨끗이 씻기 & 소독 철저히
- 렌즈를 끼고 빼기 전에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해요.
- 렌즈 케이스와 보관 용액도 새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렌즈 대신 이런 방법은 어때요?
렌즈를 착용하지 않으면서도 시력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 안경 착용하기
- 불편할 수 있지만, 눈 건강을 위해서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도수 있는 투명 안경을 착용 후 메이크업 활용
- 안경이 어색하다면, 아이 메이크업을 강조해서 스타일을 살릴 수 있어요.
💦 안약 자주 넣기 & 인공눈물 사용
- 눈이 건조하면 더 불편할 수 있으니, 안약과 인공눈물을 자주 넣어주세요.
5. 결막염이 더 악화되는 경우 (이럴 땐 즉시 병원!)
만약 렌즈를 착용한 후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렌즈를 빼고 안과에 가야 합니다.
⚠️ 눈이 더 심하게 충혈될 때
⚠️ 눈이 계속 가렵거나 따끔거릴 때
⚠️ 눈곱이 많이 생기거나 분비물이 나올 때
⚠️ 빛이 지나치게 눈부시고 시야가 뿌옇게 흐려질 때
📝 정리
- 결막염이 완전히 낫지 않은 상태에서 렌즈를 착용하면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개학 때 렌즈를 피하고,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꼭 렌즈를 껴야 한다면 일회용 투명 렌즈를 짧은 시간 동안만 착용하고,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주세요. 결막염 증상이 심해지거나 눈이 불편하면 즉시 렌즈를 빼고 병원을 방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