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궁내막암 증상, 원인 및 진단 치료방법: 총정리

반응형

자궁내막암 증상, 원인 및 진단 치료방법: 총정리

자궁내막암은 자궁 안쪽의 내막, 즉 자궁내막에서 발생하는 암입니다. 자궁경부암, 난소암과 함께 3대 부인암 중 하나로, 국내에서는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인암입니다. 특히 최근 들어 그 발생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약 3,800명의 여성이 자궁내막암을 진단받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자궁내막암 증상
자궁내막암 증상

 

자궁내막암은 여성의 호르몬 불균형과 관련이 깊으며, 폐경 이후의 여성들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에스트로겐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에스트로겐이 프로게스테론과 균형을 이루지 못할 때 자궁내막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자궁내막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특히,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해 비만율이 증가하고, 저출산, 늦은 폐경 등의 요인도 이 암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자궁내막암은 여성들의 생활 방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질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의 증상

 

자궁내막암의 초기 증상은 주로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로 나타납니다. 생리 주기가 아닌 시기에 출혈이 생기거나, 폐경 이후 출혈이 발생한다면 자궁내막암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노란빛의 질 분비물, 악취가 나는 질 분비물, 성교 후 출혈, 생리량의 과다 등이 자궁내막암의 초기 신호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폐경 후 출혈은 자궁내막암의 대표적인 신호입니다. 폐경 후에는 생리 활동이 중단되므로 출혈이 발생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출혈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에 방문해 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이 외에도 복부나 골반의 불편감, 압박감, 통증 등도 자궁내막암의 증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적극적으로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궁내막암의 원인

 

자궁내막암의 가장 큰 원인은 에스트로겐의 과다 노출입니다. 여성의 몸에서 에스트로겐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프로게스테론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자궁내막이 지나치게 증식하여 암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비만은 자궁내막암의 위험성을 크게 높입니다. 비만 여성은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이 정상 체중 여성에 비해 2.5배나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가진 여성이나 폐경 후 호르몬 치료를 받는 여성들도 자궁내막암의 위험군에 속합니다. 특히, 황체호르몬 없이 에스트로겐만을 단독으로 투여받는 경우 암 발생 위험이 4-8배 정도 증가합니다. 유방암 치료제로 타목시펜을 복용하는 여성들도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이 2-3배 높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린치 증후군과 같은 유전적 요인도 자궁내막암의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의 위험 인자가 있거나, 자궁내막 증식증 같은 증상이 있는 여성이라면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와 산부인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자궁내막암은 초기에 발견할수록 치료가 쉬워지고 예후도 좋기 때문에 예방적 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자궁내막암의 진단

 

자궁내막암은 먼저 자궁초음파 검사를 통해 자궁내막이 두꺼워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자궁내막의 두께가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졌다면, 그 다음 단계로 자궁내막 생검 또는 자궁내막 긁어냄술을 시행하여 자궁내막 조직을 채취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 검사를 진행하고 자궁내막암 여부를 확인하게 됩니다.

 

만약 조직 검사에서 자궁내막암으로 확진된다면, 암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T, MRI, PET-CT 등의 영상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를 통해 암의 크기, 자궁 근육층 침범 여부, 림프절 전이 여부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자궁내막암은 암의 위치와 전이 여부에 따라 1기에서 4기까지 병기를 나누며, 이를 바탕으로 치료 방법이 결정됩니다.

자궁내막암의 치료

 

자궁내막암 치료는 대개 수술로 시작합니다. 영상 검사에서 폐나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없는 경우, 자궁내막암의 가장 기본적인 치료는 자궁과 양측 난소, 난관을 절제하는 자궁절제술입니다. 또한,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개복 수술, 복강경 수술, 로봇 수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주치의와 상의하여 최적의 수술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수술 후에는 림프절 제거로 인한 림프부종이나 림프낭종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림프절을 많이 제거하거나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 림프부종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최근에는 형광 이미징을 이용한 감시 림프절 절제술이 도입되어, 불필요한 림프절 제거를 줄이면서도 더 정확하게 암 전이를 진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수술 후 진행 상황에 따라 항암 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3기나 4기 환자에게는 파클리탁셀과 카보플라틴을 병합한 항암 치료를 6회 정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면역 항암제를 추가했을 때 자궁내막암의 재발률을 낮추고 치료 성과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면역 항암제는 자궁내막암 치료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의 예후 및 재발 관리

 

자궁내막암은 주로 질, 림프절, 골반, 복강, 폐에 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발 시에는 수술적 절제나 방사선 치료를 기본으로 하며, 필요시 항암 치료를 병행하게 됩니다. 재발 범위가 넓거나 여러 곳에 재발한 경우에는 전신 항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발성 자궁내막암에서도 면역 항암제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초기 자궁내막암의 경우, 수술 후 추가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면 수술 후 2년 동안 3개월 간격으로 정기 검사를 받으며 경과를 관찰하게 됩니다. 이후에는 6개월 간격으로 검사 주기를 늘려가며 지속적으로 관리하게 됩니다. 방사선 치료나 항암 치료를 받은 경우에도 치료 종료 후 2년 동안은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결론

자궁내막암은 현대 여성들의 생활 습관과 관련이 깊은 암입니다. 특히 비만, 에스트로겐 과다 노출, 유전적 요인 등이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높입니다. 하지만 자궁내막암은 조기에 발견할 경우 예후가 좋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자궁내막암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위험 인자가 있는 경우에는 주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