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토스증권 주식 세금, KODEX·RISE 과세 기준은?
- 토스증권 일반 계좌로 ETF를 매수하려고 할 때 세금이 어떻게 부과될까요? KODEX S&P500, RISE S&P500,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 액티브 같은 ETF의 세금 계산 방법을 자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토스증권 일반 계좌로 주식을 매수할 때 세금이 부과될까요?
주식을 거래할 때는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거래세 등 다양한 세금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일반 주식 (국내 주식)
✔️ ETF (국내 상장)
✔️ 해외 주식
각각의 경우에 따라 세금 부과 방식이 다르므로, 본인이 매수하려는 상품의 유형을 정확히 알아야 하겠습니다.
📌 토스증권 일반 계좌의 세금 적용 여부
✔️ 일반 계좌는 세금이 부과됨
✔️ ISA 계좌를 이용하면 일정 금액까지 비과세 혜택 가능
2. KODEX S&P500, RISE S&P500,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 ETF의 세금은?
📌 ① KODEX S&P500 (국내 상장, 해외 주식형 ETF)
✔️ 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
✔️ 양도소득세: 과세 없음
📌 ② RISE S&P500 (국내 상장, 해외 주식형 ETF)
✔️ 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
✔️ 양도소득세: 과세 없음
📌 ③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 액티브 (국내 상장, 파생형 ETF)
✔️ 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
✔️ 양도소득세: 매도 시 22% 부과 (금융투자소득세 기준)
💡 세금 비교 정리표
KODEX S&P500 | 15.4% | 없음 |
RISE S&P500 | 15.4% | 없음 |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 | 15.4% | 22% (금융투자소득세) |
✔️ 해외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고, 배당소득세(15.4%)만 부과됨
✔️ 파생형 ETF (커버드콜 ETF 등)는 매매차익에 대해 22% 세금 부과됨
3. 세금 계산 예시
만약 KODEX S&P500을 1,000만 원 매수하고, 배당금이 연 5% 발생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배당소득세 계산 예시
✔️ 배당금: 1,000만 원 × 5% = 50만 원
✔️ 배당소득세 (15.4%): 50만 원 × 15.4% = 7만 7,000원
✔️ 실수령 배당금: 50만 원 - 7만 7,000원 = 42만 3,000원
📌 양도소득세 예시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
✔️ 매수 가격: 1,000만 원
✔️ 매도 가격: 1,200만 원 (200만 원 차익 발생)
✔️ 양도소득세: 200만 원 × 22% = 44만 원
결론적으로, 배당소득세는 모든 ETF에 부과되며, 파생형 ETF는 매도할 때도 세금을 내야 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4. 세금 절약 방법은 없을까?
📌 ① ISA 계좌 활용하기
✔️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이용하면 일정 금액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배당소득세도 감면되므로 ETF 투자 시 세금 절감 가능
📌 ② 장기 투자 전략 활용
✔️ 잦은 매매를 하면 세금이 누적될 가능성이 높아짐
✔️ 장기 보유 전략을 활용하면 배당소득세 부담만 남고, 세금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 ③ 배당보다 성장형 ETF 투자 고려
✔️ 배당소득세가 부담된다면, 배당보다는 주가 상승이 기대되는 ETF에 투자하는 것도 방법
5. 결론
✔️ 토스증권 일반 계좌에서는 배당소득세(15.4%)가 부과되며, 일부 ETF는 매도 시 양도소득세(22%)도 부과됨.
✔️ KODEX S&P500, RISE S&P500은 매매차익에 세금 없음, 하지만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은 매매차익에 22% 과세됨.
✔️ 세금 절약을 위해 ISA 계좌 활용 또는 장기투자 전략을 고려할 필요 있음.
✔️ 배당을 받으면서도 세금 부담을 줄이려면 해외 주식형 ETF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
ETF 투자 시 세금을 미리 계산하고 계획적으로 투자하면 더욱 효율적인 자산 관리를 할 수 있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