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티빙 계정 공유, 어디까지 괜찮을까?
- 2025년부터 티빙(TVING)의 계정 공유가 가족끼리로 제한됩니다. TV 외에 다른 기기에서의 시청은 가능한지, IP 기준은 어떻게 잡히는지 지금 정리해드립니다.

티빙 계정 공유, 이젠 진짜 가족끼리만?
넷플릭스에 이어 티빙도 드디어 움직였습니다.
2025년부터 적용되는 티빙의 계정 공유 정책 변경으로 인해
이제는 가족이 아닌 친구, 지인과의 계정 공유가 제한된다고 하죠.
특히 TV 기준 IP 차단 이야기가 나오면서
“그럼 휴대폰은? 노트북은? 아이패드는 괜찮은 거야?”
헷갈리는 분들 정말 많으실 거예요.
오늘은 그런 궁금증, 속 시원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1. 티빙의 계정 공유 정책, 뭐가 바뀐 건가요?
2025년 3월부터 티빙은
“계정 공유는 같은 가구(同居)”로 제한하는 정책을 단계적으로 도입 중입니다.
1계정으로 다양한 기기/지역에서 시청 가능 | IP 기반, 같은 주소지 사용자만 공유 허용 |
공유 인원 제한 없음 (요금제에 따라) | 프리미엄 요금제도 가족끼리만 공유 가능 |
TV, 모바일 제한 없음 | TV에서 타 지역 접속 시 차단 or 알림 발생 |
📌 핵심은: 같은 집에서 사는 사람들끼리만 정식 공유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2. TV 기준 IP 차단, 어떻게 작동하나요?
현재 티빙은 IP 주소 기반으로 ‘가족 여부’를 판단합니다.
✅ TV 기준 공유 차단 방식
- TV기기(스마트TV, 셋톱박스 등)는
가정 내 고정 IP 기준으로 연결 확인 - 다른 지역 IP로 로그인 시도 시,
경고 메시지 or 접속 제한 발생 - 일정 기간 이상 다른 지역 접속 반복 시
→ 공유 차단 조치 가능
👉 즉, TV는 가장 먼저 제재 대상이 되기 쉬운 기기입니다.
3. 그럼 폰이나 노트북, 패드는 괜찮나요?
✔️ 현재 기준,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은
정책의 직접적 차단 대상은 아닙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 주의할 점이 있어요.
스마트폰 | 가능 (1인 사용 기준) | 같은 계정으로 다수 접속 시 경고 |
노트북 | 가능 | 타 지역 접속 빈도 주의 |
태블릿 | 가능 | 앱 사용 시엔 문제 적음 |
스마트TV | 제한 가능성 높음 | 고정IP 불일치 시 차단 |
📌 요약: TV = 공유 제한 핵심,
나머지 기기들은 아직까지 계정 단속보단 모니터링 수준입니다.
4. 계정 공유, 어느 요금제까지 허용되나요?
2025년 현재 티빙 요금제 기준
베이직 | 1대 | X |
스탠다드 | 2대 | 가족 내 기기만 |
프리미엄 | 4대 | 가족끼리만 명시적 허용 |
📌 요금제 상 ‘공유 가능’하더라도,
이는 ‘동시 시청 가능 기기 수’이지
‘지인과 나눠 써도 된다’는 뜻은 아닙니다.
5. 이런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친구 집 TV에서 로그인 | 🚫 높음 |
내가 서울, 동생은 부산 – 모바일 접속 | ⚠️ 중간 (빈도 따라 경고 가능) |
여행 중 노트북으로 접속 | ✅ 가능 |
같은 집 안 TV 2대 | ✅ 가능 (IP 동일 시 문제 없음) |
👉 타지역 TV에서 지속적 시청 시
계정이 제한되거나, 강제 로그아웃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6. 대체 어디까지가 ‘가족’인가요?
티빙의 기준은 아직 명확히 법적으로 정리된 건 아니지만,
공식적으로는 **“같은 주소지, 같은 가구 구성원”**을 말합니다.
- 부모님, 자녀, 배우자 OK
- 다른 주소에 사는 친구, 연인, 사촌 등은 NO
- 주민등록등본 기준은 아니며, IP 주소 기준으로 판단
📝 출처: 티빙 고객센터 공식 안내
👉 https://help.tving.com
결론 요약
✔️ 티빙은 2025년부터 계정 공유를 가족끼리만 허용
✔️ TV는 다른 지역 접속 시 가장 먼저 제한 대상
✔️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은 아직 모니터링 수준
✔️ 가족 기준은 IP 기반 동일 주소지 사용 여부로 판단
이제는 스트리밍도 개인 중심 이용 흐름이 되고 있어요.
불필요한 제한을 피하고 싶다면, 미리미리 사용 기기 정리와 가족 계정 구성 점검 해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