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LH 청년매입임대 소득 기준과 가구원 수 정확히 보기

     

    •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신청 시 가산점이 붙는 소득 50% 이하 기준, 어떻게 계산될까요? 소득 산정 시 형제자매 포함 여부, 검증 대상 가구원 수 등 꼭 알아야 할 기준을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LH 청년매입임대 소득 기준과 가구원 수
    LH 청년매입임대 소득 기준과 가구원 수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소득기준, 누구 기준으로 계산될까?

     

    LH 청년매입임대주택은 저소득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시세의 30% 이하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는 인기 공공주택 제도입니다.
    특히 소득 수준이 중위소득 50% 이하일 경우 가산점이 부여되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 이해가 정말 중요해요.

    오늘은 “가구원은 누구까지 포함?”, “소득 산정은 몇 명 기준?” 같은
    많이 헷갈리는 핵심 질문들을 사례 중심으로 풀어드릴게요.

     

     


    1. 소득 기준 50% 이하, 누구 소득을 포함하나요?

     

    소득 산정 시 포함되는 사람 = 검증대상 가구원 전체 소득 합산입니다.
    즉, 단순히 청년 본인만 보는 게 아니라
    같이 사는 가족(주민등록등본 기준) 중 해당 조건을 만족하면 모두 포함돼요.

     

    ✅ 포함 기준

    구분포함 여부설명

     

    본인(신청자) 포함 필수
    부모 포함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 중일 경우 포함
    형제자매 포함 등본상 함께 거주 중이면 포함됨
    비동거 가족 제외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다르면 제외

    📌 요약: **‘등본에 함께 등재된 가족 구성원 수 전체’**가 검증 대상입니다.
    즉, 질문자님의 경우 부모님 + 본인 + 동생 = 4명 모두 포함입니다.


    2. ‘검증대상 가구원 수’는 어떻게 입력하나요?

     

    LH 청년임대 신청서 작성 시, ‘검증대상 가구원 수’ 항목이 나오는데요,
    이 항목은 소득 및 자산 기준 적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 질문자의 경우

    • 주민등록등본상 총 4명(부모, 본인, 자매)이 같이 거주
      → **검증대상 가구원 수는 ‘4명’**으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형제자매도 등본상 주소가 같다면 ‘독립세대’로 보기 어렵고,
    부양 가족으로 인식되므로 소득 및 자산 합산 대상이에요.


    3. 소득기준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소득기준은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기준표를 바탕으로 계산합니다.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기준 금액이 올라갑니다.

    📌 예시: 2025년 기준 (4인 가구 중위소득 50%)

    • 기준 중위소득 100%: 약 5,400,000원
    • 50% 이하 기준: 약 2,700,000원 이하

    👉 즉, 부모님 + 본인 + 동생의 소득 합산이 월 270만 원 이하면 가산점 대상입니다.

    소득은 건강보험료, 원천징수영수증, 근로소득원천징수 등으로 확인합니다.


    4. 그렇다면, 형제나 자매 소득도 포함되나요?

     

    네. 포함됩니다.
    만약 동생이 아르바이트나 정규직 근무 중이라면 월 소득도 포함 대상이에요.
    단, 만 30세 이상 형제자매 중 ‘별도 세대’로 등재된 경우는 예외일 수 있어요.
    👉 이 경우엔 **LH 공고문의 ‘세대분리 기준’**을 참고하셔야 해요.

     

     


    5. 소득기준 낮춰서 가산점 받는 팁은?

     

    • 학생이거나 소득 없는 가족은 소득 ‘0원’으로 반영
    •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수입은 신고 여부에 따라 소득으로 잡힐 수 있음
    • 부모님이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일 경우 보험료 납부액으로 소득 산정 가능

    ✅ 소득 증명은 보통 ‘건강보험 납부내역’, ‘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원’으로 대체됩니다.


    헷갈린다면? LH 고객센터 또는 공고문 참고!

     

    항상 기준은 매년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이 조금이라도 애매하면 LH 청약센터 또는 관할 지사에 문의하세요.


    마무리 정리

     

    항목기준 요약

     

    검증 대상 가구원 수 주민등록등본상 거주자 전체 포함 (부모+본인+형제)
    소득 기준 가구원 전체 소득 합산 / 중위소득 50% 이하
    형제자매 소득 포함 여부 등본상 함께 거주 시 ‘포함’
    가산점 부여 시점 신청일 기준 확인, 건강보험료 또는 원천징수로 증빙

    마무리하며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신청은 기회가 되면 꼭 도전해봐야 할 제도입니다.
    다만, 신청 조건이 복잡해 보일 수 있으니
    **‘내가 누구랑 같이 사느냐’, ‘소득은 어느 정도냐’**만 정확히 파악하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신청하실 수 있어요.

    등본 기준으로 전체 가구원을 확인하고, 가산점 대상이라면 꼭 놓치지 마세요!

     

    출처:

     

    LH청약센터

    보건복지부 중위소득 기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