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LH 청년매입임대 소득 기준과 가구원 수 정확히 보기
-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신청 시 가산점이 붙는 소득 50% 이하 기준, 어떻게 계산될까요? 소득 산정 시 형제자매 포함 여부, 검증 대상 가구원 수 등 꼭 알아야 할 기준을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소득기준, 누구 기준으로 계산될까?
LH 청년매입임대주택은 저소득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시세의 30% 이하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는 인기 공공주택 제도입니다.
특히 소득 수준이 중위소득 50% 이하일 경우 가산점이 부여되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 이해가 정말 중요해요.
오늘은 “가구원은 누구까지 포함?”, “소득 산정은 몇 명 기준?” 같은
많이 헷갈리는 핵심 질문들을 사례 중심으로 풀어드릴게요.
1. 소득 기준 50% 이하, 누구 소득을 포함하나요?
소득 산정 시 포함되는 사람 = 검증대상 가구원 전체 소득 합산입니다.
즉, 단순히 청년 본인만 보는 게 아니라
같이 사는 가족(주민등록등본 기준) 중 해당 조건을 만족하면 모두 포함돼요.
✅ 포함 기준
본인(신청자) | 포함 | 필수 |
부모 | 포함 |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 중일 경우 포함 |
형제자매 | 포함 | 등본상 함께 거주 중이면 포함됨 |
비동거 가족 | 제외 |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다르면 제외 |
📌 요약: **‘등본에 함께 등재된 가족 구성원 수 전체’**가 검증 대상입니다.
즉, 질문자님의 경우 부모님 + 본인 + 동생 = 4명 모두 포함입니다.
2. ‘검증대상 가구원 수’는 어떻게 입력하나요?
LH 청년임대 신청서 작성 시, ‘검증대상 가구원 수’ 항목이 나오는데요,
이 항목은 소득 및 자산 기준 적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 질문자의 경우
- 주민등록등본상 총 4명(부모, 본인, 자매)이 같이 거주
→ **검증대상 가구원 수는 ‘4명’**으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형제자매도 등본상 주소가 같다면 ‘독립세대’로 보기 어렵고,
부양 가족으로 인식되므로 소득 및 자산 합산 대상이에요.
3. 소득기준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소득기준은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기준표를 바탕으로 계산합니다.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기준 금액이 올라갑니다.
📌 예시: 2025년 기준 (4인 가구 중위소득 50%)
- 기준 중위소득 100%: 약 5,400,000원
- 50% 이하 기준: 약 2,700,000원 이하
👉 즉, 부모님 + 본인 + 동생의 소득 합산이 월 270만 원 이하면 가산점 대상입니다.
소득은 건강보험료, 원천징수영수증, 근로소득원천징수 등으로 확인합니다.
4. 그렇다면, 형제나 자매 소득도 포함되나요?
네. 포함됩니다.
만약 동생이 아르바이트나 정규직 근무 중이라면 월 소득도 포함 대상이에요.
단, 만 30세 이상 형제자매 중 ‘별도 세대’로 등재된 경우는 예외일 수 있어요.
👉 이 경우엔 **LH 공고문의 ‘세대분리 기준’**을 참고하셔야 해요.
5. 소득기준 낮춰서 가산점 받는 팁은?
- 학생이거나 소득 없는 가족은 소득 ‘0원’으로 반영
-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수입은 신고 여부에 따라 소득으로 잡힐 수 있음
- 부모님이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일 경우 보험료 납부액으로 소득 산정 가능
✅ 소득 증명은 보통 ‘건강보험 납부내역’, ‘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원’으로 대체됩니다.
헷갈린다면? LH 고객센터 또는 공고문 참고!
항상 기준은 매년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이 조금이라도 애매하면 LH 청약센터 또는 관할 지사에 문의하세요.
- LH 청약센터: https://apply.lh.or.kr
- 고객센터: 1600-1004
마무리 정리
검증 대상 가구원 수 | 주민등록등본상 거주자 전체 포함 (부모+본인+형제) |
소득 기준 | 가구원 전체 소득 합산 / 중위소득 50% 이하 |
형제자매 소득 포함 여부 | 등본상 함께 거주 시 ‘포함’ |
가산점 부여 시점 | 신청일 기준 확인, 건강보험료 또는 원천징수로 증빙 |
마무리하며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신청은 기회가 되면 꼭 도전해봐야 할 제도입니다.
다만, 신청 조건이 복잡해 보일 수 있으니
**‘내가 누구랑 같이 사느냐’, ‘소득은 어느 정도냐’**만 정확히 파악하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신청하실 수 있어요.
등본 기준으로 전체 가구원을 확인하고, 가산점 대상이라면 꼭 놓치지 마세요!
출처: